Cloud Advocate Team Manger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MEGAZONECLOUD Cloud Advocate 김주룡입니다.
엔지니어에서 교육계로, 교육계에서 소프트웨어교육으로 이동 후 마지막 종착점은 L&D을 선택한 드론입니다.
심리학자가 되어야 했나 싶을 정도로 심리나 관계에 대한 것에 흥미를 갖고 있어 관계에 대해 많이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집단 지성이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여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다수가 협력과 경쟁을 통해 얻은 능력이 우수한 소수, 혹은 개인의 능력보다 더 올바른 결론에 다다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한 마리의 개미는 별 힘이 없지만 다수의 개미는 큰 일을 해냅니다.(출처/영화 앤트맨 스틸컷)
WHO, Cloud Advocate Team?
Cloud Advocate Team은 어떤 팀인가요?
Cloud Advocate Team의 "사람"을 보고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면접은 내가 회사와 함께 할 수 있는 인재인지 확인하는 과정이면서 또한 면접자가 인터뷰어를 통해 회사를 파악하는 시간입니다. 면접은 면접자에게 상당히 부담스럽고 어려운 일이지만 서로를 알기 위한 시간이라면 피로감보다 유의미한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메가존클라우드의 면접은 상당히 이상적인 면접 시간이었습니다. (팀바이팀이라 저희 팀의 면접일 때 이야기이니 메가존클라우드 전부로 이해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평가를 받고 하는 시간보다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받는 시간으로 상당히 존중받는 경험은 항상 떨리는 면접을 조금이라도 편하게 어루만져 주었습니다. 그 경험은 결과를 떠나 남고 싶은 회사의 이미지를 심어주는데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다양한 곳에서 일하면서 느낀 점은 장소와 업무보다 더 중요한 점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나와 맞는 사람입니다. 나와 맞는다는 생각은 서로의 스타일을 인정하고 서로가 편할 수 있도록 배려할 때 맞는다고 판단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좋은 경험은 좋은 사람임을 알 수 있었고 관계가 지속할 수 있는 영양분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원활한 업무로 연결되었습니다.
Cloud advocate는 DevRel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업무의 일정 부분들은 많은 직군의 사람들을 만나야 합니다. 단순히 업무 관련 미팅보다는 설득하거나 이야기를 듣거나 기존의 미팅과는 다른, 사람 간의 관계 형성이 주를 이룹니다. 사람간의 관계 형성에 관심이 많고 좋은 사람을 만나 일을 배워가는 재미가 쏠쏠하여 일을 재미있게 해나가고 있습니다.
Cloud Advocate Team에서 필연적인 CA가 되려고 합니다.
DevRel이 활성화되고 사회 전반적으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L&D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인력이 필요한데 이에 따른 좋은 기회가 주어지게 되었습니다. 이 기회를 선택하게 되면서 메가존 클라우드의 Cloud Advocate에 합류할 수 있었습니다.
기회가 왔을 때 준비된 사람만이 기회를 잡을 수 있듯이 저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엔지니어 경험과 다양한 업무의 형태가 현재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DevRel을 정통해서 준비하지는 못하였지만, 다양한 직군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직접 경험을 통해 심도 높은 이해를 하게 되었고 현재 이 일을 하는 것에 저의 경험은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팀에서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팀 구성원과 함께 서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제가 필연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새로운 일들을 하면서 업무의 성공과 실패를 떠나 보람되고 많은 피드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메가존클라우드에서 Cloud Advocate 업무를 하는 데에 필요한 존재로 계속 남기 위해 노력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HOW, Cloud Advocate Team?
Cloud Advocate Team은 어떻게 일하는가요?
Cloud Advocate 업무는 "사람" 중심으로 일합니다.
수평적인 구조를 말한다면 바로 그 구조는 여기에 있습니다. 성장과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조직이 수평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를 잘 반영된 팀으로 업무는 능력 중심으로 능률을 높일 수 있는 인원을 우선 할당됩니다. 그리고 주 업무로 업무수행을 하고 도움이 필요할 때는 과감히 도움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다른 팀원이 여유로울 때는 다른 팀원의 업무를 도와주기도 합니다.
서로 잘 도와줄 수 있는 이유는 정확한 업무 공유로 서로의 업무의 진행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로의 업무를 이해하여 진행이 매끄럽고 도움을 주기도 받기도 합니다. 업무의 결과를 떠나 만족한 업무 수행을 이룰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없었던 업무가 많기 때문에 정해진 틀이나 양식이 없어 난감하기도 합니다.
항상 새로운 것은 완전히 새로운 것보다는 기존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작은 변화로 완전히 달라 보이는 것입니다. 작은 변화는 보지 못했던 이면이나 관점의 변화에서 시작합니다. 이 변화는 상하 관계에서 보다는 좌우에서 서로의 의견이 자유로운 충돌로 발전을 해야만 변화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 양식이 없어도, 정해진 규칙이 없어도, 규칙을 만들어가고 양식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람 중심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Cloud Advocate Team에서는 팀원들과 이렇게 협업합니다.
Cloud Advocate Team에서 저는 주니어지만 일하는 데 있어서는 주어진 업무의 책임자로 끝까지 책임을 다합니다. 이것은 팀장님의 모습을 보고 배운 것도 있습니다. 솔선수범이라는 초등학교 이후로 들어본 적 없는 단어는 메가존클라우드 Cloud Advocate Team에서 다시 찾게 되었습니다.
업무의 책임은 누구나 다 가지는 기본이지만 책임을 더불어 권한까지 주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Cloud Advocate의 팀장님은 책임과 권한을 팀원에게 맡겨주면서 확실한 피드백을 줍니다.
구글의 훌륭한 리더의 10가지 조건의 내용 중 한 문장을 발췌했습니다.
직원에게 인사이트를 주거나 스스로 문제를 풀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에 머뭅니다. 그들에게 직접 고민할 시간을 제공하면서 앞으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죠.
갑자기 구글의 훌륭한 리더의 10가지 조건 내용을 발췌한 이유는 저희 팀장님 또한 회사의 한 팀원으로 최선을 다해 일하면서 팀장이라는 직책 또한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리더는 선행자 또는 조언자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저희 팀장님은 제가 생각하는 리더에 가까운 분입니다. 그래서 일을 할 때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주고 조언자 역할을 확실히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하는 데 있어서 저 또한 책임을 더욱더 깊게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희 팀은 일에 맞는 사람이 책임자로 최선을 다해 일하면서 성공적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지원 공고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