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립의 클라우드 거버넌스와 로그 분석 혁신

일시: 2024.05.16 15:20 ~ 16:00
장소: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센터 2F 아셈볼룸 202+203호
작성자 : CTC/서기원
AWS 환경에서 실제 기업 사용자의 거버넌스 구현시 이슈 사항과, 어떻게 이슈를 해결하고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 가는지 실 사례를 확인하기 위해 세션에 참가하였습니다.
그림컴퍼니의 클라우드 거버넌스 및 로그 중앙화 구현 사례를 통해 ISMS 심사 대응과 그에 따른 현실적 이슈 및 해결 방안을 살펴보는 세션입니다.
먼저 비즈니스 성장에 따른 다중 계정 관리 구현 부분입니다.
다중 계정 관리 체계 구현과 그에 따른 모니터링 체계의 구현을 위해 AWS Control Tower 와 AWS Solutions Libary -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를 적용 하였다고 합니다.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 https://aws.amazon.com/ko/solutions/implementations/centralized-logging-with-opensearch/ )
AWS Control Tower 의 기본 구성도입니다. 크게 다음의 부분으로 구성됩니다.(Control Tower의 일반적인 구성입니다.)
서비스 카탈로그/Account Factory 를 통한 계정 프로비저닝
Organization을 통해 다중 계정 관리 체계 구축
SSO(Identity Center) 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및 액세스 관리
Log 아카이브 계정을 통한 로그 중앙집중화
Audit 계정으로 통한 중앙 집중 모니터링 및 감사 구현
워크로드 운영 계정의 Organization / OU 구조로 편입.
AWS Solutions Libary 와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의 소개입니다.(AWS Solutions Libary 는 AWS가 제공하는 검증된 솔루션과 아키텍처 지침을 말하며,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는 Amazon OpenSearch Service 기반으로 구현한 로그 중앙화 구현 가이드/템플릿입니다.)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의 제공기능입니다. All-in-one 로그 수집과 그에 따른 프로세싱과 파이프라인, 시각화 대시보드등이 포함됩니다.(사실 이런 것은 예전 ELK 스택등등으로 계속 지원되던 부분이죠. 이것을 OpenSearch 서비스를 통해 좀더 쉽게 구성 할수있게 해주겠다 정도로 보입니다.)
다음은 그립 컴퍼니의 AWS 거버넌스 확립 여정에 대한 소개입니다.
그립컵퍼니는 라이브 방송(주로 라이브 쇼핑) 제공 플랫폼으로서, 국내 1위 라이브 커머스 앱입니다. 비즈니스의 빠른 성장과 함께 애플리케이션의 복잡도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회사의 빠른 성장에 따라 ISMS-P 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이슈가 생겼고…
ISMS-P 인증 이슈를 최소한의 인력으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AWS Native 솔루션 기반으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기로 결정.
그에 따라 Control Tower 를 도입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Control Tower의 다음 4가지 기능 요소를 통해 거버넌스를 확립하였고…
어카운트 구조는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결정 배경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개발 - 운영 계정 분리가 되어 있지 않아 Control Tower 도입을 통해 계정을 분리(개발 / 운영 OU 분리 구성)
Control Tower 의 Log Archive / Audit 기본 계정 생성을 통해 로그 수집 중앙화 및 감사 용도 계정을 확보
여러 서비스에 걸쳐 공통되는 서비스 요소(비용 분석, Network, Security 등)를 Shared Services OU 로 통합.
종니트 벤처등 사업영엑 다른 부분은 임시로 SandBox OU로 통합.(추후 계정 분리를 고려중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권한 매핑입니다. 다음의 기준으로 빠르게 구성하였다고 하네요.
팀/용도/권한을 고려하여 용도별 그룹 생성
작업 공수를 줄이기 위해 AWS Identity Center 의 Built-in 그룹/관리형 권한 세트를 최대한 활용.
거버넌스 및 네트워크 구성도입니다. VPC간 통일성이 없었던 연결 구성을 TGW를 통해 일원화/중앙집중화 하는데 주안점을 둔듯 합니다.
K-ISMS 팩 적용을 통해 인증 심사 대응 작업을 최대한 간소화 하였고요.(해당 팩은 아직 개선의 여지는 있지만 많은 수작업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기에 저 역시 적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카탈로그를 통해 네트워크-인프라 프로비저닝에 대한 거버넌스 확보를 도모하였습니다. 일종의 서비스 포탈 개념인데, 요즘의 트렌드이기도 하죠.
적용 효과입니다. Control Tower 등 Native 서비스/빌트 인 구조를 활용하여, 최소 인력/공수를 통해 거버넌스 체계를 구현하였습니다.
다음은 보안 로그 모니터링 입니다. 상술한대로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를 활용하여 최소 공수로 로그 중앙화를 구현하였습니다.
대시보드 역시 기본 구성을 대부분 그대로 활용하여 구성하였고, 그럼에도 요구사항 충족이 가능했었다고 합니다.(애초에 요구사항이 그리 높지 않았던 점도 고려되어야 할듯 싶습니다.)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적용 효과 및 향후 비전에 대한 소개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결론
Control Tower 및 AWS Solutions Libary 등을 통해 기본적인 거버넌스 구조는 빠르게 확립이 가능.
Centralized Logging with OpenSearch 등 OpenSearch 기반의 모니터링 구축 방안도 AWS를 통해 소개되고 있음.
보다 고도화된 거버넌스 구축 프로그램 및 OpenSearch 기반의 보안 모니터링 구축 서비스 제작에 참고가 될만한 세션이었음.